운영위원회
-
동승훈
삼성전자 마스터
동승훈 마스터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품질/제조 분야에서 공학통계 및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가로서 제조 및 품질시스템을 대상으로 각종 통계, 데이터 사이언스 및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을 접목하고 체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12년 삼성전자 기술장인인 마스터로 선임되었습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현장문제 해결 및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방법론 응용이며, 반도체 품질/제조 분야에서 약 30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성공학 방법론의 응용 등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삼성전자內 Data Science Society, 삼성전자 공과대학에서 강의 및 프로젝트 자문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KAIST에서 산업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정혜영
웨이비스 수석연구원
정혜영 수석연구원은 웨이비스 연구소의 신뢰성/불량분석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개발중인 제품 및 양산 제품의 신뢰성 시험, 퀄리피케이션 진행, 불량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웨이비스는 RF소자 파운드리, 패키지 및 관련 제품을 제조 납품하는 화합물 반도체 회사입니다. 이전에는 기가레인 부설연구소에서 개발소자의 신뢰성 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2013년부터 JM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강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고체물리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ASQ 회원이며 ASQ CRE 자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한복
SK하이닉스 TL (Technical Leader)
이한복 TL은 SK하이닉스 디지털 인프라 팀에서 연구소 내의 Digital Flow 환경 구축 및 역량 확산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프라 팀에 합류하기 전에는 NAND 제품의 Etch공정 연구 및 개발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Etch 공정을 연구하며 공정 실험 단계별로 실험계획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또한 JSL을 사용하여 엔지니어들이 Data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Add-Ins을 제작하는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
주요 관심 분야는 JMP을 활용하여 Data 전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 엔지니어들이 JMP로 분석 업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 등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습니다.
-
진서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빅데이터전공 교수
진서훈 교수는 고려대학교 빅데이터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심분야는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데이터마이닝, CRM입니다. 컨설턴트와 금융권 CRM 분야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 이사, 한국CRM협회 회장을 맡고 있기도 합니다. 2007년 고려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진으로 합류하기 전에는 현대캐피탈, 국민은행, 오픈타이드코리아에서 CRM 전문가 및 컨설턴트로 근무했습니다. 고려대학교에서 통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김동진
한화토탈 DT추진팀 과장/데이터분석
김동진 과장은 한화토탈 DT추진팀의 데이터 분석 파트에서 근무 중입니다. 주요 업무는 데이터 분석 전략 수립 및 현업 부서의 데이터 분석 업무 지원이며, 사내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JMP 기초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전에는 경영혁신팀에서 한화그룹 유화3사 디지털 아카데미 커리큘럼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한화토탈 데이터 분석 솔루션 도입, 챗봇 서비스 운영 업무를 진행했습니다. 신규공장 증설 프로젝트에서는 회전기계를 담당하였고, 공무부문 정비팀에서 방향족 공장 및 동력, 운영 설비를 담당하기도 했습니다. 경북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습니다.
-
이종선
IES 공학통계연구소 대표
이종선 대표는 삼성, LG, SK하이닉스 등 전자 분야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품질 및 통계분석에 관한 컨설팅과 교육을 수행하고 있으며,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공정관리 방법론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습니다. IES 공학통계연구소 설립 전에는 SAS 코리아 컨설턴트, 삼성전자 품질 데이터 분석 내부 전문가로 일했고, 인하대학교에서 통계학 강의를 맡기도 하였습니다. 인하대학교에서 응용통계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
김종민
한가람경영혁신연구소 대표
김종민 대표는 2008년 한가람경영혁신연구소를 설립한 후 제약/바이오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기업을 대상으로 QbD, six sigma, 기술경영(MOT) 등과 관련된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창업 전에는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전문연구원과 DFSS(Design For Six Sigma) MBB로 일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생물공학(Biochemical Engineering)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홍은주
삼성전자 책임 엔지니어
홍은주 책임은 2000년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하드웨어 설계분야에서 고속신호전송 품질 확보를 위한 SI(Signal Integrity), PI(Power integrity) 엔지니어로 CAE기반의 simulation을 통한 선행 검증 및 주요 프로젝트 이슈분석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서버 및 PC와 모바일폰 등 set 제품 외에 프린터에 적용되는 SOC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는 모바일 사업분야에서 set제품의 품질확보 및 개선을 위해 통계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방법론 개발을 주요업무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system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을 기반하여 머신러닝을 통한 사업부내 효율적 개발업무 환경 구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습니다.
-
도미니아 라뜨웰 Dominea Rathwell
듀폰 코리아 수석 연구원
도미니아 수석 연구원은 듀폰 전자재료 사업 분야에서 신소재의 선행 개발 및 연구소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 과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OLED 연구소에서 신제품을 위한 소자 구조 개발, 신소재의 선행 개발이 주요 연구 테마입니다. 각종 통계, 데이터 사이언스 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듀폰 코리아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현 회사 전에는 독일 Max Planck 연구소, 삼성 SDI에서 유기화학 연구원으로 근무 하였습니다. 오클랜드대학교에서 유기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
이재욱
LG전자 연구위원
이재욱 연구위원은 LG전자 모바일폰 사업 분야에서 18년간 제품설계와 요소기술에 관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모바일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서, 신제품을 위한 구조 개발, 신소재의 선행 개발이 주요 연구 테마입니다. 또한 LG전자 6시그마 MBB로서, 메탈, 폴리머, 점접착제의 특성 문제 해결 및 제조 공정의 기술 향상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복합재료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
주용한
선문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주용한 교수는 선문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심분야는 스마트팩토리와 인공지능입니다. 2021년 선문대학교 교수진으로 합류하기 전에는 SK하이닉스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서 Data Innovation 팀을 이끌었으며, 통계, 기계학습, 인공지능을 적용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산업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추민주
셀트리온 CMC통계팀장
추민주 팀장은 2012년 셀트리온에 입사하여 의약품 개발부터 제조까지를 아우르는 CMC분야 통계 분석 업무와 전임상 관련 통계 업무를 이끌고 있습니다. 임직원의 통계 이해 함양을 위해 사내 통계 교육을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GMP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와 분석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하였고, JMP를 기반으로 QbD를 의약품 개발에 적용시켜 품질 향상에 기여했으며, 2019년 Global Bio Conference에서 관련 성과를 발표하였습니다.
<Methodologies in Biosimilar Product Development> (2021)의 공동저자로 Chapter 3: Quality by Design, Chapter 14: Case study를 작성했으며, 이외 다수의 의약품 개발 관련 통계 논문 작성과 특허에 참여하였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통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이종석
성균관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교수
이종석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심분야는 스마트팩토리,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입니다. 주로 제조 분야의 기업들과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포스코에서는 도금량 제어자동화 솔루션 개발 이후로 공장 내 모든 세부 공정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스코는 2019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세계 제조업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이끌고 있는 등대공장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2012년 성균관대학교 교수진으로 합류하기 전에는 미국 SAS 본사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했습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에서 산업공학 박사 학위를, 포항대학교에서 정보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